최근 몇년간, 서로 다른 IoT기기들 간의 상호연동에 대해서 연구했었다.

예를들어 내가 전력을 측정하는 LG사의 스마트플러그를 하나 구입했다고 치자.
그리고 스마트폰으로 제어가능한 중소기업의 전등 컨트롤러를 구입했다고 치자.
둘다, 스마트폰으로 제어가능하고, 각가의 기능은 사용자에게 편의를 주지만 딱 거기서 끝이다.

이미 두 기기는 통신하는 기능이 있지만, 서로 통신을 하지 못한다.
통신하는 물리적인 경로도 다르고, 통신 프로토콜도 다르기 때문이다.

만약 IoT 기기들끼리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면, 서로 가진 능력을 통해 재미난 일들을 할 수있다.

IR센서를 통해 주인이 나것을 확인한 후, 불 끄고, TV도 차단하고, 청소기 도 돌리고 이런저런 일들이 가능해 진다.

사실 가능해 진다.. 가아니고 가능하고.. 이미 구현해놨다.
상용성, 안전성 문제는 별개지만, 가능하다.

이미 나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별도의 플랫폼을 만들어서 서로 연동하는 일을 진행했었다.

IFTTT라는 사이트를 모방해서 나름대로 몇개의 서로다른 IoT기기들을 연동 했다.

위 사진은 시연 영상 스크린샷인데..
나름 동작을 잘했었다.
그래서 계속 개발을 진행하다가..

openHAB이라는 것을 알고, 더이상의 개발을 멈췄다.
내가 원하는 모든 기능이 openHAB에 있었다.
http://www.openhab.org/

 

openHAB

Welcome to openHAB - a vendor and technology agnostic open source automation software for your home more info openHAB in a Nutshell Learn why we decided to create openHAB, what is it for and how it works! more info Getting Started Learn how to set up your openHAB and start creating your personal sma

www.openhab.org

 


openHAB은 스마트한 홈을 만드는게 목적인데
한 화면(WEB-UI)에서 모든 기기들의 상태를  볼수 있고,
서로 다른 기기들끼리 연동할수 있게 해준다.

사실 위에 이야기한 2가지가 openHAB의 기능 전부이다.

나는 앞으로, 세가지를 설명하려고 한다. 

1. openHAB 전반적인 사용하는 방법.
2. 구체적으로 어떻게 장치들을 연동시키는지. (사용자 입장)
3. 내가 개발한 기기들 어떻게 openHAB에 연동시키는지 (개발자 입장)

알고 보면 별거 아닌데.. 문서가 전부 영어이다 보니 습득하는데 제법 시간이 걸렸다.
누가 돈을 준다면, 아주 자세하고 친절하게 개발하는 방법을 알려 줄텐데..
우선 서론까지 쓰고, 다음에 시간날때 완성 시켜야 겠다.

+ Recent posts